2021-12-25
TDD 실천법과 도구
책을 활용한 TDD익숙해지기 (CHAPTER.1)
github link - TDD_practice
Chapter 1 - TDD(Test Driven Development - 테스트 주도 개발)
- 목표
- TDD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쌓는다.
- TDD를 익숙하게 사용하도록 숙달한다.
- 일주일에 1챕터 이상 진행한다.
- 책을 읽게 된 계기
NEXTSETP에서 자바 플레이 그라운드 - 자바 with TDD, 클린코드 수업을 첫 번째 미션을 진행했었는데TDD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부족하다고 판단되었고 보충을 한 뒤 다시 수업을 들어야 겠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수업에 대한 다른 사람들의 질문을 볼 수 있는 SLACK에 가입을 하였고 그 곳에서 어떤 분이 질문 한 곳에서 박재성님의 답변에 절판된 TDD 실천법과 도구 책에 대한 pdf로 공개되어 있는 블로그를 알게되어서 시작하게 되었다.
- 작성 방법
책에 대한 내용을 나열하기 보다는 실습 위주의 내용을 복습 차원으로 기록을 할 것이다. 책에서는 예제를 eclipse IDE 를 활용하였지만 나는 IntelliJ IDEA를 활용하여 실습을 진행 하였다.
- 테스트 주도 개발의 진행 방식
- 질문(Ask): 테스트 작성을 통해 시스템에 질문한다.(테스트 수행 결과는 실패)
- 응답(Respond): 테스트를 통과하는 코드를 작성해서 질문에 대답한다.(테스트 성공)
- 정제(Refine): 아이디어를 통합하고, 불필요한 것은 제거하고, 모호한 것은 명확히 해서 대답을 정제한다.(리펙토링)
- 반복(Repeat): 다음 질문을 통해 대화를 계속 진행한다.
은행 계좌(Account) 클래스 만들기
1. 계좌 생성 테스트
[질문] -> 응답 -> 정제
- 구현해야 할 기능을 파악하고, 목록을 작성한다.
- 계좌 생성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최초의 테스트 케이스를 만들고 실패하는 모습을 확인한다.
- 클래스 이름은 Account
- 기능은 세 가지
- 잔고 조회
- 입금
- 출금
- 금액은 원 단위로(예: 천 원 = 1000)
- 프로젝트 생성
IntelliJ 메뉴에서 [File] -> [New] -> [Project]를 선택해서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나는 maven 대신 gradle로 프로젝트를 생성했다.
Account 클래스를 만든적이 없어서 당연한 에러가 난다.
이런 식으로 진행하는 이유는 테스트 케이스 작성 시 흐름을 잃지 않기 위해서라고 책에서 기술하고 있다.
IntelliJ에서는 동인한 오류 화면을 표시해 준다.
이제, 시스템의 메시지에 응답해서 계좌가 생성 테스트 케이스를 통과하는 코드를 작성해본다.
질문 -> [응답] -> 정제
main > java package에 Account Class를 생성
예외(Exception)를 호출하는 쪽으로 던져버리도록 한다.
class AccountTest { public void testAccount() throws Exception { Account account = new Account(); if (account == null) { throw new Exception("계좌생성 실패");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ccountTest test = new AccountTest(); try { test.testAccount(); } catch (Exception e) { System.out.println("실패(X)"); return; } System.out.println("성공(O)"); } }
[저자한마디]
최대한 빨리 실패하기
TDD에서는 테스트 자동화를 통해서 개발이 시작된 시점부터 완료될 때까지 가능한 한 빠른 시점 내에 그리고 자주 실패를 경험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심지어는 개발이 시작되기도 전에 실패가 발생하는 상황부터 보고 시작하라고 하니 말 다했다. 그런데 이런 방식은 사실 일반적인 문제 해결 방식과는 조금 다르다. 보통은 작업의 중간 과정에서조차도 실패를 하지 않기 위해 최대한 노력하는 경우가 더 많다. 하지만 TDD는 실패를 통해 배움을 늘려가는 기법이다. OK조건을 사전에 정해독 빠르게 실패를 경험하며, 그 조건을 등대로 삼아 실패 상황을 최대한 빨리 극복하고자 노력한다. 성공한 항목과 실패한 항목이 명확하고, 작업해야 하는 부분이 확실하다. 성공에 필요 조건을 만들고, 실패하는 조건 항목을 성공시킨다. 그래서 빨리 실패하면 실패할수록 좀 더 성공에 가까워지는 묘한 개발 방식이다.
질문 -> 응답 -> [정제]
- 리팩토링을 적용할 부분이 있는지 찾아본다.
- ToDo 목록에서 완료된 부분을 지운다.
- 클래스 이름은 Account
- 기능은 세 가지
- 잔고 조회
- 입금
- 출금
- 금액은 원 단위로(예: 천 원 = 1000)
현재 코드에서 JUnit 단위 테스트 프레임워크를 적용해서 단위 테스트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면 어떤 부분이 구조화되고, 어떤 장점을 갖게 되는지 살펴 볼 것이다.
class AccountTest { @Test public void testAccount() throws Exception { Account account = new Account(); if (account == null) { throw new Exception("계좌생성 실패"); } } }
@Test
어노테이션을 추가하고 JUnit
을 import 해주면 JUnit
을 사용가능해진다.
이제 main method
는 제외하고 테스트를 다시 실행해보자.
테스트가 성공 하였다. 다음은 테스트 코드를 좀 더 간결하게 변경을 해준다.
testAccount()
메소드 안의 if문은 시나리오 흐름상 '검증'이라는 부분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했을 뿐 현재는 의미가 없기 때문에 제외하겠다.
class AccountTest { @Test public void testAccount() throws Exception { Account account = new Account(); } }
테스트 케이스 항목이 극단적으로 간단해졌다.
이제 다음 테스트로 넘어가 보자.
2. 잔고 조회 테스트
[질문] -> 응답 -> 정제
- 잔고 조회(getBalance)기능 작성을 위한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한다.
- 테스트 수행 결과가 오류(error)로 표시된 항목은 실패(failure) 항목으로 만든다.
다음은 세가지 기능 중에서 잔고 조회 부분이다.
잔고 조회 기능은 어떻게 하면 제대로 구현됐는지 확인이 가능할까?
테스트 시나리오를 조금 발전시켜 보자.
- 클래스 이름은 Account
- 기능은 세 가지
- 잔고 조회
- 10000원으로 계좌 생성
- 잔고 조회 결과 일치
- 입금
- 출금
- 금액은 원 단위로(예: 천 원 = 1000)
이번엔 잔고 조회 시나리에 맞춰 테스트 메소를 작성해 보도록 하겠다.
fail()
은 JUnit에서 제공하는 메소드로 fail 메소드가 호출되면 해당 테스트 케이스는 그 순간 무조건 실패한다.
fail
메소드 대신에 throw new Exception();
형태로 작성할 수 있다.
getBalance
메소드를 위와 같이 작성하면 생성자가 없기 때문에 에러가 발생한다.
그리고 account
클래스 내에 getBalance
메소드도 존재 하지 않기 때문에 IntelliJ에서는 친절하게 빨간 글씨로 표시를 해준다.
그래서 account
클래스 안에 생성자와 getBalance
메소드를 만들어 주자.
public class Account { public Account(int i) { } public int getBalance() { return 0; } }
이렇게 위와 같이 인자(argument)로 int
를 갖는 생성자와 getBalance() 메소드를 생성해 주면 아래와 같이 처음에 클래스 생성때 만들어 놓았던 테스트에서 에러가 발생한다.
이유는 Account
클래스 안에 인자(argument)로 int
를 갖는 생성자만 생기고 인자를 갖지 않는 기본생성자는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한다.
책의 예제에서는 '초기 예치금액 없이 계좌를 만들 수 없다'라는 조건을 가지고 실습을 진행하고 있어서 기본 생성자를 생성하지 않고 testAccount
메소드를 수정해 준다.
@Test void testAccount() throws Exception { Account account = new Account(10000); }
질문 -> [응답] -> 정제
- 앞서 작성된 테스트 케이스를 이용해 잔고 조회 기능을 구현한다.
- 테스트 실패 시에 메시지를 보여줄 수 있는 구조를 생각해본다.
여기서는 계좌의 잔고를 알려주는 getBalance
메소를 구현한다. 그런데 약간 비겁하게 앞서 작성한 테스트 케이스의 맹점을 노려작성 하였다.
public class Account { public Account(int i) { } public int getBalance() { return 10000; } }
단순하게 getBalance
메소드 호출 시에 10000을 돌려주도록 하드코딩으로 수정하였다.
당연히 테스트는 통과를 하게 된다.
여기서 저자는 테스트 작성을 이렇게 한 이유가 있다.
테스트 케이스를 엉성하게 만들면 테스트 자체를 신뢰할 수 없게 된다.
라는 점을 말하려고 한 것이다.- 그 다음으로는
테스트 케이스를 통한 제품 코드 구현을 하드코딩으로 시작하는 것도 괜찮은 출발점
이라는 것을 알려주고 싶어서이다.
이외의 자세한 내용은 책에 있으므로 생략하겠다.
다음으로 로직 검증을 위한 테스트 케이스를 추가해보자.
@Test void testGetBalance() { Account account = new Account(10000); if (account.getBalance() != 10000) { fail(); } account = new Account(1000); if (account.getBalance() != 1000) { fail(); } account = new Account(0); if (account.getBalance() != 0) { fail(); } }
테스트 케이스를 보강 후 다시 테스트를 진행해 보자.
테스트가 실패하면서 로직에 문제가 있음을 발견하고, 충분한 만큼
의 테스트 케이스가 작성됐다고 생각되면, 다시 Account
클래스의 getBalance
메소드를 제대로 다시 구현해보자
public class Account { private int balance; public Account(int money) { this.balance = money; } public int getBalance() { return this.balance; } }
책에서는 좀 더 상세하게 step-by-step으로 진행을 하는데 글이 너무 길어져 중간 과정은 조금 생략을 하였다.
잔고 조회 테스트도 성공을 해서 작업 목록에서 잔고 조회에 줄을 그어준다.
- 클래스 이름은 Account
- 기능은 세 가지
잔고 조회
- 10000원으로 계좌 생성
- 잔고 조회 결과 일치
- 입금
- 출금
- 금액은 원 단위로(예: 천 원 = 1000)
질문 -> 응답 -> [정제]
- 구현된 잔고 조회 로직에 대한 리펙토링 작업을 한다.
- 본격적으로 JUnit 테스트 프레임워크를 사용한다.
클레스에 대한 리펙토링은 위에서 같이 진행을 하였기 때문에 생략하고 JUnit을 사용한 migration을 진행해 보려고 한다.
먼저 여기서는 JUnit에서 제공하는 assertEquals()
라는 메소드를 이용해서 진행하였다.
assertEquals
(예상값, 실제값)
>assertEquals
("설명", 예상값, 실제값)(JUnit4) - 책 예제
>assertEquals
(예상값, 실제값, "설명")(JUnit5) - 현재
assertEquals
(10000, account.getBalance());
assertEquals
("10000원으로 계좌 생성 후 잔고 조회",10000, account.getBalance()) - 책 예제;assertEquals
(10000, account.getBalance(), "10000원으로 계좌 생성 후 잔고 조회") - 현재;
TDD를 진행하는데 있어 assertEquals
라는 특정 메소드 자체가 중요한건 아니다. assertEquals
같은 메소드를 쓰지 않았다고 해서 테스트 주도 개발이 아닌 건 아니다. 자동화된 테스트 케이스를 미리 만들면서 개발한다면 System.out.println()등을 사용해도 TDD라 불릴 수 있다. TDD에서 중요한 건 목표 이미지를 미리 세운다 -> 자동화된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한다 -> 만족시키는 로직을 작성하고 정련한다.
이다.
앞으로는 if문 대신에 assertEquals
메소드를 적극 사용해보자.
이상없이 테스트를 성공하였다@Test void testGetBalance() { Account account = new Account(10000); assertEquals(10000, account.getBalance()); account = new Account(1000); assertEquals(1000, account.getBalance()); account = new Account(0); assertEquals(0, account.getBalance()); }
3. 입금과 출금 테스트
[질문] -> 응답 -> 정제
- 입금과 출금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한다.
- 클래스 이름은 Account
- 기능은 세 가지
잔고 조회
- 10000원으로 계좌 생성
- 잔고 조회 결과 일치
- 입금
- 10000원으로 계좌 생성
- 1000원 입금
- 잔고 11000원 확인
- 출금
- 10000원으로 계좌 생성
- 1000원 출금
- 잔고 9000원 확인
- 금액은 원 단위로(예: 천 원 = 1000)
public void deposit(int money) { } public void withdraw(int money) { }
@Test void testDeposit() { Account account = new Account(10000); account.deposit(1000); assertEquals(11000, account.getBalance()); } @Test void testWithdraw(){ Account account = new Account(10000); account.withdraw(1000); assertEquals(9000, account.getBalance()); }
새로 만든 구 개의 테스트가 모두 실패! 각 항목을 클릭해 예상값과 결과값이 어떻게 나와서 실패하는가를 확인한다.
질문 -> [응답] -> 정제
-입금과 출금 기능을 구현한다.
public void deposit(int money) { this.balance += money; } public void withdraw(int money) { this.balance -= money; }
Account
클래스에 두 메소드를 구현하고 테스트 실행!
- 클래스 이름은 Account
- 기능은 세 가지
잔고 조회
- 10000원으로 계좌 생성
- 잔고 조회 결과 일치
입금
- 10000원으로 계좌 생성
- 1000원 입금
- 잔고 11000원 확인
출금
- 10000원으로 계좌 생성
- 1000원 출금
- 잔고 9000원 확인
- 금액은 원 단위로(예: 천 원 = 1000)
구현이 된 부분은 ToDo목록에서 지운다.
질문 -> 응답 -> [정제]
- 중복해서 나타나는 계좌 클래스 생성 부분을 리팩토링한다.
- 테스트에 사용할 객체를 초기화하기 위한 setUp 메소드를 구현한다.
- ToDo 목록에서 작성된 부분을 제거한다.
Account 클래스의 최종 모습
public class Account { private int balance; public Account(int money) { this.balance = money; } public int getBalance() { return this.balance; } public void deposit(int money) { this.balance += money; } public void withdraw(int money) { this.balance -= money; } }
테스트 클래스의 최종 모습
import static org.junit.jupiter.api.Assertions.assertEquals; import org.junit.jupiter.api.BeforeEach;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class AccountTest { private Account account; @BeforeEach public void setup() { account = new Account(10000); } @Test void testAccount() throws Exception { } @Test void testGetBalance() { assertEquals(10000, account.getBalance(),"10000원으로 계좌 생성 후 잔고 조회"); account = new Account(1000); assertEquals(1000, account.getBalance()); account = new Account(0); assertEquals(0, account.getBalance()); } @Test void testDeposit() { account.deposit(1000); assertEquals(11000, account.getBalance()); } @Test void testWithdraw(){ account.withdraw(1000); assertEquals(9000, account.getBalance()); } }
책에서 리팩토링하는 부분은 제외를 하였다. 그리고 책에서는 @Before
어노테이션이 사용되었지만 JUnit5는 @BeforeEach
로 변경이 되었다.
TDD의 장점
- 개발의 방향을 잃지 않게 유지해준다.
- 품질 높은 소프트웨어 모듈 보유
- 자동화된 단위 테스트 케이스를 갖게 된다.
- 사용설명서 & 의사소통의 수단
- 설계 개선
- 보다 자주 성공한다.
1챕터를 블로그에 정리하는 시간도 만만치 않다. 먼저 TDD에 대해서 대략적인 흐름을 이해하는 시간이었고 테스트의 질문 -> 응답 -> 정제 순서대로 차근차근 진행을 하면서 프로그램의 안정성에 크게 기여하고 개발에 좀 더 집중할 수 있게 도와준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현재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부분에는 쉽게 적용해서 할 수는 없겠지만 다음에 새로운 프로젝트나 추후 내가 원하는 자체서비스 회사를 갔을 때를 대비해서 꾸준히 익혀나가야겠다.
오늘의 기록
SI파견업체
TDD 실천법과 도구
책을 활용한 TDD익숙해지기 (CHAPTER.2-1)